기업 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에 설립된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의약품을 대신 제조해주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삼성그룹의 바이오헬스케어 비전의 핵심 계열사로, 현재 인천 송도에 1~4공장을 운영 중이며,
5공장 착공 및 6공장 계획까지 발표하면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재무제표 (2022~2025)
항목 | 2022.12 | 2023.12 | 2024.12 | 2025.12 | 2025.03E |
---|---|---|---|---|---|
매출액(억원) | 30013.00 | 36946.00 | 45473.00 | 55477.00 | 11598.00 |
영업이익(억원) | 9836.00 | 11137.00 | 13201.00 | 15835.00 | 3190.00 |
당기순이익(억원) | 7981.00 | 8577.00 | 10833.00 | 12953.00 | 2553.00 |
영업이익률(%) | 32.77 | 30.14 | 29.03 | 28.54 | 27.51 |
순이익률(%) | 26.59 | 23.21 | 23.82 | 23.35 | 22.88 |
ROE(%) | 11.42 | 9.12 | 11.21 | 12.18 | 10.45 |
부채비율(%) | 84.56 | 63.23 | 58.98 | 63.23 | 61.19 |
당좌비율(%) | 93.17 | 77.76 | 67.96 | 61.74 | – |
유보율(%) | 4950.52 | 5432.55 | 6041.38 | 5492.55 | – |
EPS(원) | 11411.00 | 12051.00 | 15183.00 | 18192.00 | 3782.00 |
PER(배) | 71.95 | 63.07 | 48.19 | 34.20 | 289.51 |
BPS(원) | 126139.00 | 118115.00 | 125051.00 | 124144.00 | – |
PBR(배) | 6.50 | 5.50 | 5.15 | 4.47 | 6.19 |
※ 본 재무제표는 네이버 금융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20794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 분석을 위해 정리한 표입니다.
*여기서 e는 “Estimate” 즉 예상 실적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재무제표 분석 (2022~2025E)
1. 매출과 이익의 꾸준한 성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매출은 3조 13억 원에서 5조 5,477억 원으로 약 84% 증가하며, 영업이익은 9,836억 원에서 1조 5,835억 원으로
6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는 4공장의 본격 가동과 5공장 수주 증가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 수익성은 안정적이나 소폭 하락
영업이익률은 32.77%에서 28.54%로, 순이익률은 26.59%에서 23.35%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사업 확대에 따른 관리비 증가 및 신규 공장 초기 가동 비용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다만 여전히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ROE 및 EPS 증가로 주주가치 상승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23년에 일시적으로 낮아졌지만 2025년에는 12.18%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당순이익(EPS)도 11,411원에서 18,192원으로 상승하여 주주가치 제고에 긍정적입니다.
4. 재무 건전성 양호
부채비율은 2022년 84.56%에서 2025년 63.23%로 낮아질 전망이며, 당좌비율과 유보율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재무구조는 향후 추가 투자 여력과 위기 대응력에서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5.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PER(주가수익비율)은 71.95배에서 34.20배로 하락하고 있으며, 이는 실적 성장 대비 주가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음을 의미합니다.
PBR도 6.5배에서 4.47배로 감소하여 중장기적으로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6. 2025년 1분기 예상 실적
2025년 1분기 예상 매출은 1조 1,598억 원, 영업이익은 3,190억 원, 당기순이익은 2,553억 원으로,
계절성 없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 항목별 평가
항목 | 점수 (100점 만점) | 평가 이유 |
---|---|---|
가치 | 65 | 실적 성장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은 점차 완화되고 있습니다. |
성장성 | 80 | 글로벌 CMO 시장 1위, 공장 증설 및 고객사를 늘이는 추세입니다. |
수익성 | 80 | 높은 이익률과 ROE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안정성 | 80 | 삼성그룹 계열 + 안정적 재무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
배당 | 0 | 무배당 유지, 이익 대부분 재투자 중에 있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요 경쟁사 비교
기업명 | 국가 | 사업 유형 | 생산능력 | 주요 고객/특징 |
---|---|---|---|---|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한민국 | CMO / CDMO | 78만 L | 화이자, 모더나 등 글로벌 빅파마 / 세계 최대 생산규모 |
론자 (Lonza) | 스위스 | CMO / CDMO | 약 50만 L | 장기 노하우 보유 / 고부가가치 위탁 중심 |
싸이티바 (Cytiva) | 미국 | 공정장비 + 개발 지원 | 비공개 | 공정 기술 지원 특화 / GE헬스케어 자회사 |
셀트리온 | 대한민국 | 자체 개발 + 일부 위탁 | 약 25만 L | 바이오시밀러 중심 / 글로벌 판매망 확보 |
베링거인겔하임 | 독일 | CMO / 자체 개발 | 약 30만 L | 자체 신약 + 위탁 병행 / 유럽 중심 |
※ 생산능력은 최근 공시 및 기업 발표 기준 추정치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차별화 포인트
- 생산능력 세계 1위: 5공장 완공 시 기준, 글로벌 최대 규모로 CMO 시장 점유율 선도
- 초고속 확장력: 설립 10여 년 만에 4개 공장 가동 및 5·6공장 추가 확장 진행
- 삼성 브랜드 신뢰도: 글로벌 제약사와 장기 계약에 유리, 품질관리 및 자금력에서 우위
- 수직계열화 및 통합 서비스: 바이오에피스와의 협력 및 품질-허가-유통 통합 제공
- 고객 다변화 및 안정적 수익: 다양한 글로벌 고객사 확보 및 선수주 방식으로 수익성 안정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 요약
1. 투자 매력 요약
- 글로벌 CMO 1위: 세계 최대 생산능력 확보(78만 L), 공장 확장으로 성장 지속
- 높은 수익성: 업계 최고 수준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유지
- 안정적인 재무 구조: 부채비율 하락, 삼성 계열사로서의 자금 안정성
- 다변화된 고객 포트폴리오: 화이자, 모더나 등 글로벌 제약사와 장기 계약 체결
- 지속적인 투자와 확장: 5공장 착공, 6공장 계획 등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2. 투자 리스크 요약
-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여전히 PER, PBR이 높아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
- 환율 변동성: 달러 기반 수출 구조로 인해 환율 리스크에 민감
- 고객사 의존도: 일부 고객사 매출 비중이 높아 계약 변화 시 실적 영향 가능성
- 무배당 정책 유지: 배당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비선호
- 규제 및 품질 리스크: 글로벌 품질기준 위반 시 브랜드 이미지 훼손 가능성
3. 투자 전략 제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바이오 산업 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을 겸비한 중장기 유망 종목입니다.
다만 현재 밸류에이션과 단기 변동성 리스크를 고려해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며,
5공장 실적 반영이 본격화되는 2025년 이후를 주요 실적 모멘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본 분석은 참고용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